최근 아파트와 같은 주택에 투자를 하거나, 실거주를 위한 아파트 매수를 위해 고려해야 하는 투자처 중에 하나는 재건축 대상이 되는 아파트가 있다. 아파트의 재건축의 절차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본다.
- 1. 재건축이란?
- 2. 재건축 절차
- 3. 재건축과 재개발 차이
1. 재건축이란?
재건축은 오래된 아파트를 해체한 후에, 새로운 아파트로 건축하는 사업을 생각하면 쉽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준공연도가 30년 이상이 되는 아파트가 가능한 대상이 된다.
안전진단을 통과한 후에, 정비계획 수립과 정비 구역이 지정되면, 추진위 승인과, 조합원 설립 승인 등의 절차를 거쳐서, 사업시행승인이 완료되면, 재건축의 80% 이상은 진행이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2. 재건축 절차
재건축의 절차를 살펴보면, 사업 준비와 사업시행 그리고, 관리처분 단계와 사업 완료의 큰 4가지 단계로 나눌 수가 있다. 가장 중요한 단계는 위에서 설명한, 사업시행승인으로 보이며, 조합원들은 그다음 단계에서 분양 신청을 받는다.
그리고, 관리처분 계획이 인가가 되면, 이주와 철거가 시작되고, 착공을 하는 단계에서는 조합원 이외에 일반인 분양이 같이 진행이 되는 순서로 진행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준공이 완료되면, 준공인가와 함께, 조합의 청산과 함께 재건축이 마무리가 된다.
보통은 준공이 인가되고, 조합의 역할이 마무리가 되는 것이 대부분의 단계이지만, 많은 조합들이 사업 후에 남은 청산금을 사용을 다 한 후에나 조합의 해산이 되는 것은 바뀌어야 할 부분으로 보인다.
="
3. 재건축과 재개발 차이
재건축과 재개발은 차이가 있다. 쉽게 생각하면, 아파트는 재건축이며, 오래된 동네를 새로운 아파트로 바꾸는 것은 재개발이다.
공법에 나와있는 차이를 보면 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된 건축물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의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해서, 그리고, 도시 기능의 회복을 위하여, 진행하는 것이 재개발 사업이다.
재건축은 기반시설은 양호하여도, 해당 공동주택의 노후됨에 따른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진행하는 사업이다. 재건축은 첫 단계는 안전진단을 통과해야 진행이 가능하다.
'부동산 > 부동산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정 지역과 비조정 지역 아파트 청약 차이 (0) | 2021.09.22 |
---|---|
부동산 취득세 계산 방법 (0) | 2021.09.14 |
공인중개사 사무소 개설 방법 과 절차 (0) | 2021.09.09 |
강제경매와 임의 경매의 차이 (0) | 2021.09.05 |
청약홈 서비스 이용 방법과 아파트투유 서비스 종료 (0) |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