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같은 신규 주택을 공급 하려면, 대부분의 건설사를 통해서, 아파트 분양을 통해서 실시한다. 분양을 받으려면, 아파트 청약을 해야 하는데, 주택 청약통장이 있어야 가능하다. 요즘 대부분 1순위 조건을 유지하는 통장을 보유 하고 있는데, 청약 통장을 이용한 분양 신청을 위한 면적별 신청 방법등에 대해서 살펴본다.
- 주택청약통장
- 주택청약 1순위 조건
- 면적별 필요납입금액
- 조건별 가점제와 추첨제
- 주택 청약 가점 계산 방법
- 아파트 청약 방법
주택청약통장
주택 청약통장은 미성년자도 가입이 가능하다, 하지만 아파트 청약은 만 19세 이상이 되어야 가능하다. 월납입을 2만원 부터 50만원까지 매월 납입이 가능하다. 적금 형태로 계속 납입하는 분들도 있지만, 최근 금리가 낮은 상태라 인기가 많이 없어진 상태이다. 하지만 납입 금액과 횟수에 따라 공공 분양의 경우에는 우선 순위가 달라 질수 있으므로, 수도권이나 대도시에서는 관심을 가지고 보유해하 하는 통장이다.
주택청약 1순위 조건
주택 청약 1순위 조건은 지역마다 틀리다. 청약통장의 2순위는 사실상 최근 부동산 경기를 감안 할때 쓸모가 없으므로, 반드시 아파트 청약에 관심이 있다면, 1순위를 만들어 놓는것이 유리하다.
투기과열지역 : 해당 지역에서 가입후 2년이 경과한 자에게 한하여 1순위 자격이 부여된다.
청약과열지역 : 투기 과열 지역과 똑같이 2년이 경과하여야 1순위 자격이 부여된다.
수도권 지역(과열지역제외) : 1년 경과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1순위 자격이 부여된다.
그외 지역 : 6개월을 유지 하면 1순위 자격이 부여가 된다.
면적별 필요납입금액
청약 신청을 위해서는 1순위가 되어도, 면적별로 자격이 되는 금액이 상이하다. 지역별 면적별 모두 조금씩 최소 납입 금액이 상이하므로 꼭 인지하고 있어야 하겠다. 아래 표와 같이 서울과 부산의 경우에는 국민평형이 300만원 이상 납입금이 있어야 하며, 기타 광역시는 250만원 그리고 지방 시와 군단위는 200만원의 납입금이 있어야 1순위로 청약 신청이 가능하다. 대형 평수를 보면 서울과 지방의 필요 금액 차이가 많이 난다. 40평대는 서울과 부산이 600만원이고, 지방은 300만원이 최소 납입금이다. 50평대의 경우에는 서울과 부산은 천만원의 최소 납입금이 필요하다. 모든 면적에 청약이 가능한 금액도 있으니, 여유가 있다면 미리 넣어 놓아도 좋겠다.
조건별 가점제와 추첨제
민영주택의 분양을 보면, 면적별로 추첨제와 가점제의 비율이 틀리다. 무주택자들에게는 가점제가 유리하겠지만, 다주택자의 경우에는 반대로 추첨제에 대한 기대를 해 볼수가 있는 경우다. 아울러, 젊은 세대들은 부양가족과 무주택 기간이 짧기 때문에 추첨제를 노리고 청약을 신청 할 수가 있다. 민영주택의 경우로 살펴 보면, 국민평수인 85제곱미터 이하에서 투기과열지구는 가점제가 100%이다. 대신 지방에서는 추첨제를 60%나 적용하기 때문에, 지방의 좋은 투자처가 있다면, 괜찮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 85제곱미터가 초과하는 아파트, 즉 34평 이 넘어가는 대형 아파트의 경우에는 투기과열지역에서도 50%의 추첨제를 적용 하며, 지방의 경우에서는 100% 추첨제 이므로, 인기있는 지방 아파트에서는 높은 경쟁률이 나올 수 있다.
주택 청약 가점 계산 방법
주택 청약 통장의 가점에 대한 내용을 보면 , 만점은 100점이 아니라 85점이다, 무주택 기간 만점 32점과 부양가족 만점 6명으로 35점 그리고, 청약 통장 보유 기간 만점 17점을 합친 점수가 84점이다.
무주택 기간 : 시작이 2점으로, 추가로 1년 2점이 가산되며 최대 15년까지의 무주택 기간이 적용되므로 만점은 32점이 된다.
부양가족 : 1명당 5점이 가산 되며, 최대 6명까지 부양가족이 만점이 본인 포함해서 35점이 된다.
청약 통장 : 2점부터 만점 17점으로 가입만 해도 2점이며 1년에 1점씩 가산된다. 15년 가입이 만점으로 17점이 된다.
아파트 청약 방법
청약홈이라는 사이트를 통해서 청약신청이 가능하다. 청약홈 사이트를 보면, 보기 쉽게 청약 일정이 나와 있으므로, 해당 일을 잘 기억해 두었다가, 조건이 맞다면, 청약 신청을 하면 된다. 당첨 조회와 자격 확인까지 모두 이 사이트에서 가능하므로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한국부동산원에서 운영중이다.
'부동산 > 부동산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제경매와 임의 경매의 차이 (0) | 2021.09.05 |
---|---|
청약홈 서비스 이용 방법과 아파트투유 서비스 종료 (0) | 2021.06.30 |
주택 비과세 적용 -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0) | 2021.06.10 |
주택 양도소득세율 정리 와 다주택자 중과 (0) | 2021.06.08 |
조정지역 아파트 취득세 중과와 일시적 1가구 2주택 비과세 (0) | 2021.06.03 |